물류경영 /SCM영역 | LSA5001 | 공급사슬 전략과 관리(Supply Chain Strategies and Management) |
---|
기업 내 및 기업 간 구매, 생산, 유통활동에 수반되는 상품과 정보의 흐름을 계획조직통제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전략인 공급사슬관리(SCM)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
LSA5002 | 생산전략과 관리(Operations Strategies and Management) |
생산기업의 의사결정 문제를 중심으로 생산시스템의 설계와 생산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로 나누어 강의하며, 생산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학습한다. |
LSA5003 | 유통전략과 관리(Distribution Strategies and Management) |
유통관리의 기초개념과 도소매상의 주요 업태, 유통정보시스템의 최근의 발전 동향, 고객 지향적 경로구조의 설계와 관리, 물류문제, 그리고 유통경로의 성과평가 등을 학습한다. |
LSA5004 | 구매전략과 관리(Supply Strategies and Management) |
기업의 생산, 유통활동을 지원하는 구매 및 공급관리의 전략적 역할과 특성을 이해하고, 구매전략의 유형과 기법, 공급자의 선택과 관리, 품질관리 등을 학습한다. |
LSA5005 | 재고전략과 관리(Inventory Strategies and Management) |
기업의 구매, 생산, 유통활동에 있어서 재고의 역할, 재고의 유형과 비용요소를 살펴보고, 재고전략, 재고모형과 적용기법을 습득한다. 공급사슬 재고관리 문제와 이슈를 학습한다. |
LSA5006 | 서비스운영관리(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
서비스 부문의 역할과 의의를 이해하고, 서비스산업의 유형, 특성, 서비스 운영의 전략, 운영방안을 학습한다. 국내 및 해외 서비스기업의 경영전략에 대한 사례를 연구한다. |
LSA5007 | 물류회계 및 성과분석(Logistics Performance Analysis) |
기업물류의 핵심 성과측정 분야인 물류비에 대한 개념, 비용의 분류 및 관리체계, 산정방법을 습득하고, 물류원가계산, ABC 분석, 물류예산관리, 물류투자의 경제성 분석 등을 학습한다. 공급사슬관리 관점에서 물류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최근 동향을 토론한다. |
LSA5008 | 물류 및 공급사슬관리 세미나 (Seminar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사슬관리 분야의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최신 이론과 연구 방법론을 관련 논문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
LSA5009 | Cases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
물류 및 공급사슬관리의 개요를 살펴본 후, 기존 문헌에서 발표된 사례와 산업현장의 실제 사례를 수집하여, 그룹별 발표와 토론, 이론접목을 경험, 학습한다. |
LSA5010 | Advanced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
물류와 공급사슬관리의 개요, 공급사슬관리상의 물류의 중요성, 공급사슬관리와 물류의 전세계 발전동향, 관련 이론 및 기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LSA5012 | 서비스 마케팅(Service Marketing) |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의 경제에 있어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이 되고 있으며, 제조 부문에서도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마케팅 관리에서 서비스 부문이 전체 수업의 20% 정도로만 다루어져 왔고, 서비스와 제품 간의 차이를 생각해 볼 때, 서비스 마케팅에 대한 개념이나 이론적 틀이 집중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 마케팅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장지향적 서비스 전략의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사례의 소개를 통해 서비스 마케팅의 이론적 체계와 전략적 시사점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LSA5014 | 공급사슬계획(Supply Chain Planning) |
본 과목은 공급사슬관리에서의 계획관련 이론 및 사례를 강의한다. 크게 공급사슬네트워크 설계, 수요 및 공급의 계획과 조정, 재고관리 및 통제 계획, 운송네트워크 설계 및 계획 등을 다룬다. |
LSA5015 | 공급사슬 데이터분석(Supply Chain Data Analysis) |
본 과목은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의 수립 및 수행이 필요하다. 유효한 전략의 수립 및 집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공급사슬관리의 과정에서의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과 사례를 학습한다. |
LSA5016 | 전략경영론(Strategic Management) |
본 과목은 물류기업의 전략적 경영을 위한 다양한 경영전략에 대한 모형과 기법을 학습한다. 또한 모형과 기법의 적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적용능력을 고양시킨다. |
물류시스템 /정보영역 | LSB5002 | 물류네트워크 분석(Logistics Network Analysis) |
---|
물류네트워크의 구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단일 및 복수 물류시설의 배치계획, 재고경로계획, 수배송계획 등 물류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모형과 컴퓨터를 활용한 사례분석을 학습한다. |
LSB5003 | 시스템 최적화(System Optimizations) |
시스템 최적화의 개념과 분야를 설명하고, 선형계획법, 네트워크 모델, 정수계획법, 동적계획법, 비선형계획법 등 수리계획법에 대한 모형화, 해법, 결과의 해석 등을 학습한다. |
LSB5004 |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
수송계획법, 최단경로문제, 최소비용흐름문제, PERT/CPM 등 네트워크 모델에 대한 모형화, 해법, 결과의 해석 등을 학습한다. 물류문제에 대한 응용방법과 적용사례를 학습한다. |
LSB5005 | 물류시설 계획과 운영(Logistics Facilities Planning and Operations) |
물류센터, 창고의 입지선정, 시설배치, 설비 및 운영계획, 작업관리, 주문 및 재고정보의 관리 등 물류시설의 계획과 운영을 위한 실무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LSB5006 | 물류공학(Logistics Engineering) |
물류시스템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의사결정문제들의 기본개념과 해결 기법들에 대해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들 문제들을 상업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적용, 학습한다. |
LSB5007 | 물류정보시스템(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물류정보시스템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데이터 관리, 시스템 통합 등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종합물류정보시스템의 필요성, 구성, 내용, 구축과정, 활용분야를 소개하고, 인터넷물류(e-Logistics) 등 전자상거래의 확산에 대응한 새로운 물류정보 전략과 기법을 학습한다. |
LSB5009 | 물류시스템분석 세미나(Seminar in Logistics System Analysis) |
물류 시스템 분석의 기본이론인 수송계획법, 최단경로문제, 최소비용흐름문제, 재고모델, 자재소요계획 모델들에 대한 최근 발표된 확장이론들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관련논문 발표와 토론을 통해 심도있는 학습을 한다. |
LSB5010 | 물류정보시스템 세미나(Seminar in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
물류정보시스템 및 e-Logistics 분야의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최신 이론과 연구 방법론을 관련 논문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
LSB5011 | Advanced Logistics System Analysis Seminar |
물류센터/설비 위치선정 및 배치, 운용계획, 재고관리 등의 개요와 수송계획법, 최단 경로문제, 최소비용흐름문제, 재고모델, 자재소요계획 모델의 수학적 모형과 해법, 결과분석 등을 학습한다. |
LSB5012 | Advanced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
수주정보, 재고정보, 생산정보, 출하정보, 물류관리정보등 물류정보의 개념, 기능,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전략적 물류관리를 위한 물류정보시스템에 대한 일반을 학습한다. |
LSB5013 | 물류최적화와 알고리즘 |
본 과목은 물류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기본 알고리듬들을 소개하고 개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탐색, 정렬, 동적계획법, 탐욕적 방법, 되추적기법, 분기한정법과 최적화 소프트웨어인 CPLEX 사용법 등을 학습한다. |
LSB5014 | 물류수요분석 |
본 과목은 물류 및 SCM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수요예측기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관련 S/W를 이용한 실습을 통해 실제 물류관리 및 SCM에 있어서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
LSB5015 | 물류입지분석 |
물류시설의 입지 및 거점 분석은 물류 SCM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의사결정 사항이며, 구매 및 조달, 생산, 유통 및 물류관리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본 과목은 물류 및 SCM 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입지분석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관련 S/W를 이용한 실습을 통해 실제 물류관리 및 SCM에 있어서 응용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 |
LSB5016 | 보관하역론 |
본 과목에서는 상품의 보관과 부가가치 창출활동을 담당하는 보관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관의 형태와 특성, 물류센터의 유형과 관리, 자재 및 재고관리, 이에 수반되는 하역관리, 포장관리 등을 학습한다. |
LSB5017 | 화물운송론 |
본 과목은 화물운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운송수단별 운영특성, 그리고 국내화물과 수출입 화물의 운송프로세스 등에 대한 학습를 통해 물류관리자로서 갖추어야 할 화물운송관련 지식에 대한 이해 및 적용능력을 제고한다. |
LSB5018 | 전자상거래와 물류 |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 등을 수단으로 하는 상거래 및 기업의 제반 활동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개념과 기업적용 형태, 비즈니스 모델, 전자상거래의 기술기반, 기업간 전자상거래, 그리고 e-Marketplace 등을 다룬다. 그리고 성공적인 전자상거래를 물류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LSB5019 | Logistics data analysis using R programming |
물류영역에서 R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데이터분석에 대한 기본 지식과 R프로그래밍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기본에서 고급까지)를 제공한다. |
LSB5020 | Python Programming for Digital Logistics |
물류와 관련된 프로그래밍 솔루션에 중점을두고 이러한 방법과 개념을 적용하여 신흥 및 미래 물류 기술, 서비스 및 시스템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한다. |
LSB5021 | Smart Freight Mobility |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위한 Value-chain에 대한 설명과 공급사슬관리에 필요한 입력 범위에 대해 학습하고, 활동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
LSB5022 | 물류시뮬레이션 |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의 기본 이론인 확률론, 포아송 프로세스, 큐잉 모형 등을 바탕으로 실습 예제들을 통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대한 개념 이해와 모형구축 방법론을 학습한다. |
LSB5023 | 유통물류 데이터분석(Retail Logistics Data Analytics) |
유통관리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고객 세부시장 분석, 머천다이징, 유통경로설계, 상권분석 등 유통경로 관리 등 상적유통 관련 이론 및 사례를 학습함. 이를 바탕으로 유통경로의 여러 접점에서 수집되는 유통물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제, 분석하는 통계학, 머신러닝, 공간분석 등의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기업의 유통목표 및 전략에 부합하는 물류의사결정 도출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함. |
국제물류 영역 | LSC5001 | 국제물류론(International Logistics Management) |
---|
경제활동의 글로벌화에 따른 국제물류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국제물류의 개념과 전략, 분야별 효율화 방안을 습득한다. 글로벌 기업의 국제물류전략과 사례 및 교통인프라 정책 등 연구를 다룬다. |
LSC5002 | 해운물류론(Port Logistics) |
수송 네트워크상에서의 항만의 역할, 배후지 접근, 공급망에서 항만의 역할, 항만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측면에서의 이해, 항만 클러스터, 항만 간 경쟁, 항만정책, 항만의 전략적 분석, 항만 운용및 계획의 개념과 기법들에 대해 학습한다. |
LSC5003 | 항공물류론(Aviation Logistics) |
항공 물류 관리 전반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 지식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공항 서비스와 시설, 국제항공협회 및 조직, 공항 운영조직, 공항 개발 및 유지관리, 공항관리에 있어서의 재정정책 등을 학습한다. |
LSC5004 | 국제복합운송(Intermodal Transportation) |
선박, 트럭, 철도, 항공간 복합운송 산업의 시장특성, 관련 정책과 경제적 동향, 시스템 효율화 방안 등을 학습한다. 사례 기업과 주요 국가별 시스템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적 방법론을 익힌다. |
LSC5005 | 해상보험론 (Maritime Insurance) |
무역과 보험의 이론과 실무에 필요한 적하보험과 연관된 무역론, 국제 통일규칙, 해상보험의 개념과 실제 사례를 학습한다. |
LSC5006 | 국제운송법 (Global Transportation Law) |
급변하는 세계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운송인의 기본 책임 및 원칙, 의무, 면책론, 국제복합운송법, 해상운송법등과 관련한 운송법 기본개념과 법규들을 학습한다. |
LSC5007 | 항공서비스경영 (Airline Service Management) |
본 강의는 항공기업경영의 이론과 실제를 경영학적인 분석 틀을 통하여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항공기업들의 서비스 종류특성, 조직구성, 경영전략 및 운영전략 수립과정 등을 통해 항공사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특수성에 대해 학습한다. |
LSC5008 | 공항경영론 (Airport Business and Management) |
공항의 경영 및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공항의 구조, 운영방식, 비용 및 수익구조, 가격결정, 경제적인 특성, 수익 극대화, 공항 마케팅,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 등을 다루고, 선진공항의 성공적인 경영개선 사례도 소개한다. |
LSC5009 | 항만계획과 운영 (Port Planning and Operations) |
해운서비스를 위한 기반시설인 항만계획과 운영에 대한 전문지식을 학습한다. 항만의 경제적 의의, 항만의 구성요소, 계획의 절차와 방법, 운영방식, 성과기준과 측정 등을 학습한다. |
LSC5010 | 중국물류연구 (Case Studies of Chinese Logistics Market) |
동북아 물류중심의 경쟁과 협력관계에 있는 중국의 물류시장, 산업 및 정책에 대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
LSC5011 | 국제물류 세미나 (Seminar in International Logistics) |
국제물류관리에 있어 다양한 주제를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물류환경을 이해하고 이에 수반되는 기회를 새로운 기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글로벌 로지스틱스를 기본 개념을 하나의 축으로 하여 항공물류, 해운물류, 물류와 환경 분야의 최신 주제를 다룬다. |
LSC5012 | Global Logistics in the Asia-pacific Region |
본 과목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최근 개발된 국제물류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지역에서의 물류통합을 이루기 위한 현안 문제, 전망, 이슈들을 다룬다. |
LSC5013 | Advanced Global Logistics Management |
글로벌화된 최근의 물류환경에 필요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특히 국제무역상의 화물운송 및 마케팅, 기업의 국제물류 관리, 오퍼레이션상의 혁신을 위한 아웃소싱 전략 및 리더십, 국제물류에서의 복합운송, 글로벌 SCM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
LSC5014 | English for Business Logistics |
본 과목에서는 구매, 생산, 유통, 재고, 회계 등 물류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영어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물류관련 용어, 비즈니스 편지작성요령, 회화, 프리젠테이션법 등을 익히도록 한다. |
LSC5015 | English for International Logistics |
본 과목에서는 해운, 항공, 복합운송 등 국제물류관련 용어, 상황별 일상회화, 편지작성요령, 프리젠테이션법 등을 익힌다. |
LSC5016 | 항공운송론 |
본 강의는 항공운송에 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향후 물류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항공운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항공운송산업의 특성, 구성요소, 서비스 형태 등을 다룬다. |
LSC5017 | 항공산업론 |
본 과정은 항공산업과 관련된 이론과 현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최근 글로벌 항공산업의 현안과 그 해결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본 과정에서는 첫째, 항공운송산업과 관련된 이론과 현실, 둘째, 공항산업과 관련된 이론과 현실, 셋째, 항공운송업과 공항산업과의 상호관계, 넷째, 항공산업의 최근 동향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학습하고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LSC5018 | 영어논문작성법(English Thesis Writing) |
본 과정은 학생들이 여러 유형의 논문을 분석하고 작성하는 요령을 가르친다. 학생들이 창작, 교정, 초고작성 등을 통해 영어작문의 기초를 배우고, 영어를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표현하는 요령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 |
LSC5019 | 계량해운물류(Quantitative Shipping Logistics) |
해운물류를 중심으로 한 국제물류에 필요한 계량분석 방법론을 익히기 위해 분야별 주요 논문을 읽고 사용된 방법론을 실제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즉, 주요논문의 방법론을 이론과 실제분석에 의거 학습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를 통하여 이론, 방법론, 실제분석 능력을 학습하여 향후 학술논문 작성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LSC5020 | Communication and Reporting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성공적인 커리어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역량에는 많은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Communication and Reporting은 대학원생들이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국제비즈니스상황에서 필요한 쓰기, 프레젠테이션, 상호커뮤니케이션기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 과정은 연구와 경험에서 도출된 모범사례와 가이드라인 제시에 초점을 두며, 학생들에게 이러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연습해봄으로써 각자의 능력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강의는 학습, 행동, 비평, 평가, 재적용의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
LSC5021 | 녹색물류관리론 (Green Logistics Management) |
지구온난화에 대응한 유엔기구, 국제기구, 주요국가, 산업계의 법, 제도 도입현황, 주요 현안 등에 대해 학습하고 이와 연관된 주요 국제학술지 논문을 읽고 학습한다. |
LSC5022 | 글로벌 물류와 혁신 (Global Logistic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기술혁신(Technological Innovation)을 통하여 미래의 새로운 성장을 얻고자 하는 것은 모든 기업과 조직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이다. 특히 디지털 혁명을 겪고 있는 글로벌 물류 및 산업환경의 변화는 물류기업의 급진적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강의를 통해 기술혁신이란 무엇이며 글로벌 물류는 왜 기술혁신을 필요로 하는지 학습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글로벌 물류기업이 어떻게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여 학생들의 물류경영전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
물류산업 /정책영역 | LSD5001 | 물류경제론(Theory and Practice of Logistics Economics) |
---|
본 교과목은 화물운송 및 물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학의 원리를 다룬다. 즉, 미시경제학의 이론들을 주로 다루며 거시경제학의 일부만을 다룬다. 또한,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기 위해 주요 화물운송수단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들을 다루며,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도출되는 사항들이 어떤 정책적인 시사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
LSD5002 | 물류경제성분석(Benefit-Cost Analysis of Logistics Issues) |
투자가치의 측정방법 및 의사결정, 자금의 시간적 가치개념, 현재가치 및 연간비용 방식에 의한 분석방법, 설비투자 및 대체 등의 문제에 대한 사례연구를 다룬다. 투자에 대한 경제성분석의 방법, 사례 등을 토론 중심으로 학습함으로써, 투자에 대한 기획 및 판단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LSD5003 | 물류산업론(Logistics Industry Management) |
국내 및 국제 물류시장과 산업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이해하고, 물류시장과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식견을 갖도록 함으로써, 물류전략수립을 위한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
LSD5004 | 물류정책론(Logistics Policy) |
물류정책의 의의, 구성요소, 정책수립과정 등 정책문제의 이론적 측면을 이해하고, 정책분석을 위한 모형을 학습한다. |
LSD5005 | 물류법규(Logistics Regulations and Laws) |
물류일반 법규, 물류거점에 관한 법규, 운송, 보관, 포장, 하역 등 물류기본활동에 관한 법규, 그리고 물류정보, 물류가공, 물류전문인력의 양성 등 물류지원활동에 관한 법규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
LSD5006 | 환경물류(Reverse Logistics) |
경제의 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중요성이 더해가는 환경문제와 물류부문의 관계, 물류산업, 시설 등과 환경이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물류부문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관리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
LSD5007 | 물류산업 및 정책 세미나(Seminar in Logistics Industry and Policy) |
물류산업 및 정책과 관련한 최근의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이슈들에 대한 각국에서의 대처방안들을 관련 자료와 논문을 통해 학습한다. |
LSD5008 | Advanced Logistics Economics and Policy |
본 교과목은 물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분야별 이론을 살펴보고, 물류정책 개요, 정책구성, 분석 모형을 학습한다. |
LSD5009 | 물류계량분석(Econometric Analysis in Logistics) |
본 과목은 계량경제학적 방법론들과 이를 물류현상 분석에 적용하는 기법들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물류학의 특성을 살려 물류 관련 다양한 통계자료들의 상호관계를 확인하고, 계량분석 관련 여러 개념들의 의미 파악과 이것들의 실질적인 활용방안에 중점을 둠 |
LSD5010 | 게임이론(Game Theory) |
본 과목은 공습사슬상의 다양한 주체들간의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전략적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법인 게임이론을 학습한다. 이같은 기본적인 기법들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분석방법의 기초를 습득한다. |
LSD5011 | 물류투자 및 재원조달(Logistics Investment and Financing) |
물류활동에서 투자활동, 조달, 생산, 판매물류과정에서 다양한 기법들을 통하여 관련재원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의 각각의 과정에서 재원조달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물류전문가로서 관리역량을 증대하고자 한다. |
LSD5012 | 물류수요예측(Logistics Demand Forecasting) |
물류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 및 유통 활동에서 파생되는 수요를 기반으로 한다. 본 과목은 수요예측에 대한 다양한 기초 방법론과 기법 및 통계패키지들에 대한 학습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초적 학습을 기반으로 물류수요 예측 사례를 분석하고, 실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을 습득한다. |
LSD5013 | 해외사업과 물류동향분석(Logistics trend & Global business) |
글로벌 경제 및 물류분야의 흐름을 파악하고, 경제 및 물류관련 현안에 대한 심층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세계 경제, 항공시장, 해운시장, 대륙간 육상교통 등의 분석과 함께 경제 및 물류분야의 새로운 트렌드 등을 주요 수업 내용으로 한다. |
LSD5014 | 지역물류시장분석(Analysis of Regional Logistics Market) |
글로벌화되고 있는 물류시장의 추세를 반영하여, 글로벌 물류시장 중에서 기업들의 진출대상이 되고 있는 지역별 물류시장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측면의 심층이해를 도모한다. 지역별 물류시장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지역물류전문가로서의 기본적 소양을 습득하도록 한다. |
LSD5015 | 물류산업정책사례분석 |
물류분야에 대한 정책들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슈가 되고 있는 물류관련 정책들의 배경, 구체적인 정책수단, 기대효과 및 이에 대한 기업 및 인력들의 대응방향을 심층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
LSD5016 | 군수물류론(Military Logistics) |
군수물류체계의 효율화 및 효과성 극대화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본 과목은 군수물류의 체계 및 부문별 운영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최근의 변화 동향 및 관련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군수물류의 발전을 도모하고 기업의 물류 발전전략에 대한 시사점 등을 학습한다. |
LSD5017 | 물류계량분석세미나(Seminar on Statistical Analysis of Logistics Issues) |
|
LSD5018 | 국제물류시장분석(Analysis of Global Logistics Market) |
|
LSD5019 | 철도물류론 |
화물수송수단으로서의 철도산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 및 국제 철도화물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며, 철도시장의 국제화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철도산업의 향후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TSR, TCR 등 대륙철도의 활성화 가능성과 해운 등 경쟁 수송수단과의 향후 역할분담과 관련된 제기되는 이슈들에 대한 집중분석을 시도한다. |
LSD5020 | 기업가정신과 스타트업(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 Logistics) |
동 교과과정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스타트업(Startup)에 대한 이해 제고를 통해물류전공 학생들이 창업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사업화 과정에 대한 단계별 기초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아울러, 물류부문별 스타트업 성공사례에 대한 외부강사 초청 강의를 통해 물류전공 학생들의 창업마인드를 고취하고 물류분야 실전창업에 대한 도전정신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