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경영/SCM영역 | LMA5001 | 화물운송론(Freight Transportation Management) |
---|
상품의 이동과정을 담당하는 운송의 기초적 개념을 이해하고, 운송비와 운송서비스의 관계, 운임구조, 운송시스템과 선정요인, 운송수단의 특징과 운영방식, 운송업의 유형과 특징, 관련 법·제도 등을 학습한다. |
LMA5002 | 보관하역론(Warehouse and Material Handling Management) |
상품의 보관과 부가가치 창출활동을 담당하는 보관의 기초적 개념을 이해하고, 보관의 형태와 특성, 창고의 유형과 관리, 자재 및 재고관리, 이에 수반되는 하역관리, 포장관리 등을 학습한다. |
LMA5003 |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Strategies and Management) |
기업 내 및 기업 간 구매, 생산, 유통활동에 수반되는 상품과 정보의 흐름을 계획·조직·통제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전략인 공급사슬관리(SCM)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
LMA5004 | 물류회계론(Logistics Accounting and Audit) |
기업물류의 핵심 성과측정 분야인 물류비에 대한 개념, 비용의 분류 및 관리체계, 산정방법을 습득하고, 물류원가계산, ABC 분석, 물류예산관리, 물류투자의 경제성 분석 등을 학습한다. 또한 공급사슬관리 관점에서 물류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최근 동향을 토론한다. |
LMA5005 | 물류정보론(Logistics Information) |
물류관리를 인한 정보기술의 활용방안과 인터넷 물류 등 전자상거래의 확산에 대응하는 새로운 물류정보 전략과 기법을 학습한다. |
LMA5006 | 유통관리론(Distribution Channel Management) |
유통관리의 기초개념과 도·소매상의 주요 업태, 유통정보시스템의 최근 발전 동향, 고객 지향적 경로구조의 설계와 관리, 물류문제, 그리고 유통경로의 성과평가 등을 학습한다. |
LMA5007 | 생산관리론(Operations Strategies and Management) |
생산기업의 의사결정 문제를 중심으로 생산시스템의 설계와 생산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로 나누어 강의하며, 생산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학습한다. |
LMA5008 | 구매관리론(Purchasing Strategies and Management) |
기업의 생산, 유통활동을 지원하는 구매 및 공급관리의 전략적 역할과 특성을 이해하고, 구매전략의 유형과 기법, 공급자의 선택과 관리, 품질관리 등을 학습한다. |
LMA5011 | 마케팅관리론(Marketing Management) |
최근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성장전략으로 마케팅 활동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강의는 실제 현업에서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개념, 관련 이론, 마케팅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강의 및 사례연구, 시청각자료 시청, Business Articles Review 등의 다각적인 강의를 통해 기업 내에서 마케팅의 역할과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
LMA5013 | 인공지능 프로그래밍과 응용(AI programming for Logistics) |
물류의 재무적인 중요성과 물류 정책 개발을 위한 동적 시뮬레이션 기법의 소개와 사례연구의 모형화를 통한 물류정책 개발과정의 이해를 비롯하여, 실무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델링을 파워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책 모델링 수업을 진행한다. |
LMA5014 | 제조·유통물류실무 |
대표적인 다국적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의 SCM업무(Forecast, Ordering, Warehouse Management, Transportation Management 등)에서 실제 사용되는 방법론을 이론적 배경과 함께 사례 중심으로 교육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SCM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Distribution KPI, DC Network 구축전략 및 최근 화두로 부상한 Green Logistics 방안 및 관련 실제 사례를 교육한다. |
LMA5015 | 리버스물류론(Reverse Logistics) |
리버스물류의 기본 개념 및 관련 이슈를 이해하고, 산업과 체계 및 관련 이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정을 통하여 학습한 리버스물류 관련 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고, 발표 및 보고서의 작성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통하여 리버스물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LMA5016 | 전자상거래와 물류 |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 등을 수단으로 하는 상거래 및 기업의 제반 활동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개념과 기업적용 형태, 비즈니스 모델, 전자상거래의 기술기반, 기업간 전자상거래, 그리고 e-Marketplace 등을 다룬다. 그리고 성공적인 전자상거래를 물류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LMA5017 | 공급사슬데이터 분석(Supply Chain Data Analysis) |
본 과목은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의 수립 및 수행이 필요하다. 유효한 전략의 수립 및 집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공급사슬관리의 과정에서의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과 사례를 학습한다. |
LMX5002 | 경영전략론(Management Strategy) |
기업경영과 관련된 전략이론과 전략수립의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고 경영전략에서 물류 및 SCM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한다. 또한 효과적인 물류관리와 SCM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획득·유지하는 전략적 접근방법을 모색한다. |
LMX5003 | 물류관리론(Logistics Management) |
기업의 물류관리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 물류시스템의 구성과 역할, 물류전략과 기법, 물류성과분석 등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
국제 물류 영역 | LMB5001 | 해운산업론(Maritime Industry) |
---|
해운, 항만을 중심으로 한 해운물류의 기본 이론과 실제 응용사례를 다루며 전통적인 해운, 항만 산업이 글로벌물류로 변천하는 과정에서의 경쟁전략, 효율성향상 이론, 구체적 사례 등을 학습한다. 동북아, 북미, 유럽의 선진사례를 분석한다. |
LMB5002 | 항공산업론 (Aviation Industry) |
항공운송·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항공운송산업의 특징, 구성요소, 서비스 형태 등을 다룬다. 또한 항공운송산업의 발전과정, 시장 환경의 변화, 규제완화, 향후 발전전망 등도 함께 강의한다. |
LMB5003 | 공항경영론(Airport Business and Management) |
공항의 경영 및 관리 전반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지식을 습득한다. 공항의 구조, 운영방식, 비용 및 수익구조, 가격결정, 경제적인 특성, 수익 극대화, 공항 마케팅,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 등을 다루고, 선진공항의 성공적인 경영개선 사례도 소개한다. |
LMB5004 | 복합운송론 (Intermodal Transportation) |
선박, 트럭, 철도, 항공 간 복합운송 산업의 시장특성, 관련 정책과 경제적 동향, 시스템 효율화 방안 등을 학습한다. 사례 기업과 주요 국가별 시스템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적 방법론을 습득한다. |
LMB5005 | 동북아물류론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of Northeast Asia) |
동북아의 물류 및 교통 현황을 조사하고 각국별 인프라, 글로벌기업의 물류의사결정, 물류산업의 현주소 및 향후과제 등을 분석한다. 또한 동북아시아 지역경제 및 교역의 역동성과 변화환경을 분석하고 향후 동북아 지역의 물류변화와 대응전략을 고찰한다. |
LMB5006 | 국제운송법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Law) |
화물의 유연한 국제적 이동을 위한 국내 및 국제적 법규와 조약 및 규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국제법규의 강화 및 완화요인과 변화방향 등에 대한 분석을 도모한다. 또한 국제법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실무적 지식을 배양한다. |
LMB5007 | 다국적기업 경영론 (Multinational Management) |
경제활동의 세계화, 무역장벽의 점진적인 철폐, 정보통신 및 수송기술의 혁명적 발달은 전 세계적인 교역규모의 확대와 함께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생산·분배 활동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들은 범세계적인 경영활동을 영위함과 동시에 국내시장에서도 국경 없는 무한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본 과목은 글로벌 경제교역환경의 변화와 영향 및 국제경영의 의미를 이해하고, 국제경영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함과 동시에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을 분석한다. 또한 물류전문대학원이 지향하는 글로벌 물류전문인력의 배양을 위해 글로벌 경영체제에 부응하는 마케팅, 생산, 물류관리에 대한 이론적 토대의 제공과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
LMB5008 | 수출입통관론(Customs Clearance Import & Export) |
WTO체제가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된 이후 국경간 이동을 가로막아온 제도적 장벽은 한층 더 낮아지게 되었다. 이런 환경변화를 계기로 불공정무역이 늘어나고 있고 눈에 보이지 않는 비관세 장벽이 수입규제를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과목은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에 부응하여 관세행정의 환경변화, 우리와 외국의 Tariff Barriers & non tariff Barriers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수출입 통관물류에 대한 각종 Case Study등을 축으로 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 수출입 통관에 관한 이해도를 제고시킴. |
LMB5009 | 녹색물류관리론 (Green Logistics Management) |
녹색물류 관련 이론, 방법론, 사례를 강의 및 학생발표, 토론을 통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 방법론, 실제사례를 학습할 수 있게 되어 향후 학술논문 작성 및 취업현장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LMX5004 | 국제물류론(International Logistics Management) |
경제활동의 글로벌화에 따른 국제물류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국제물류의 개념과 전략, 분야별 효율화 방안을 습득한다. 글로벌 기업의 국제물류전략과 사례 및 물류인프라 정책 등의 이슈를 다룬다. |
물류산업/정책 교통정책 영역 | LMC5001 | 경제성분석 (Economic Analysis for Logistics Issues) |
---|
투자가치의 측정방법 및 의사결정, 자금의 시간적 가치개념, 현재가치 및 연간비용 방식에 의한 분석방법, 설비투자 및 대체 등의 문제에 대한 사례연구를 다룬다. 투자 및 효율성 평가에 대한 경제성분석의 방법, 사례 등을 토론 중심으로 학습함으로써, 물류 사업에 대한 기획 및 판단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LMC5002 | 물류산업·정책론 (Logistics Industry and Policy) |
국내외 물류산업 및 시장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분석과 향후 물류산업과 시장의 발전방향에 대한 전망을 통하여 물류전략수립을 위한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이와 함께 물류정책의 의의, 구성요소, 정책수립과정 등 정책문제의 이론적 측면을 이해하고, 정책분석을 위한 모형을 학습한다. |
LMC5003 | 물류법규 (Logistics Regulations and Laws) |
우리나라의 물류분야 정책, 제도와 법체계의 특징과 내용을 파악하고, 외국의 법제도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본다. 물류법규를 물류업무의 기획과 관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LMC5004 | 교통산업·정책론 (Transportation Industry and Policy) |
국내외 교통산업 및 시장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분석과 향후 교통산 업과 시장의 발전방향에 대한 전망을 통하여 교통전략수립을 위한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이와 함께 교통정책의 의의, 구성요소, 정책수립과정 등 정책문제의 이론적 측 면을 이해하고, 정책분석을 위한 모형을 학습한다. 법론을 포괄적으로 익히는 것을 주안점으로 할 것이다. |
LMC5008 | 물류수요 분석 및 예측(Logistics Demand Analysis and Forecasting) |
물류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 및 유통 활동에서 파생되는 수요를 기반으로 한다. 본 과목은 물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예측에 대한 다양한 기초 방법론과 기법 및 통계패키지들에 대한 학습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초적 학습을 기반으로 물류수요 분석 및 예측 사례를 학습하고, 실제 수요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을 습득한다. |
LMC5009 | 글로벌물류시장분석(Analysis of Global Logistics Market) |
글로벌 경제 및 물류분야의 흐름을 파악하고, 경제 및 물류관련 현안에 대한 심층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세계 경제, 항공시장, 해운시장, 대륙간 육상교통 등의 분석과 함께 경제 및 물류분야의 새로운 트렌드 등을 주요 수업 내용으로 한다. |
LMC5010 | 지역물류시장분석(Analysis of Regional Logistics Market) |
글로벌화되고 있는 물류시장의 추세를 반영하여, 글로벌 물류시장 중에서 기업들의 진출대상이 되고 있는 지역별 물류시장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측면의 심층이해를 도모한다. 지역별 물류시장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지역물류전문가로서의 기본적 소양을 습득하도록 한다. |
LMC5011 | 물류투자 및 재원조달(Logistics Investment and Financing) |
물류활동에서 투자활동, 조달, 생산, 판매물류과정에서 다양한 기법들을 통하여 관련재원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의 각각의 과정에서 재원조달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물류전문가로서 관리역량을 증대하고자 한다. |
LMC5012 | 군수물류론(Military Logistics) |
군수물류체계의 효율화 및 효과성 극대화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본 과목은 군수물류의 체계 및 부문별 운영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최근의 변화 동향 및 관련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군수물류의 발전을 도모하고 기업의 물류 발전전략에 대한 시사점 등을 학습한다. |
LMX5006 | 물류경제론(Theory of Logistics Economics) |
본 교과목은 화물운송 및 물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학의 원리를 미시경제학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또한,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기 위해 주요 화물운송수단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들을 다루며,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도출되는 사항들이 내포하고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고찰한다. |